7월 12일, 서울시 대중교통 요금조정안이 물가대책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했습니다. 올해 상반기 요금인상 예정이었던 일정이 조금 연기되어 이번에 인상될 예정입니다. 이번에는 기본요금만 인상될 예정이며, 수도권 통합환승, 거리당 추가요금은 동결되었습니다. 버스는 8월 12일 오전 첫차부터, 지하철은 10월 7일 첫차부터, 두번에 걸쳐 요금이 인상될 예정입니다. 요금인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카드기준
서울시 지하철 일반요금(기본요금) | 인상예정금액 |
1차 | 1,250원 → 1,400원 |
2차 | 1,400원→ 1,550원 |
서울시 버스간선.지선요금 | 인상예정금액 |
현재 | 1,200원 → 1,500원 |
광역버스 | 인상예정금액 |
현재 | 2,300원 → 3,000원 |
언뜻보면 소액이지만 우리 일상에서 매일같이 사용하다보니 쌓이면 무시할 수 없는 금액이 교통비가 아닐까 싶습니다. 이런 교통비를 줄여줄 수 있는 제도가 알뜰교통카드(알뜰교통플러스) 제도입니다. 지금부터 알뜰교통카드(알뜰교통플러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사용방법
2. 즐겨찾기
3. 마일리지 적립 및 교통비할인
1. 사용방법
알뜰교통카드(알뜰교통플러스)란 카드할인으로 부족하다고 느끼는 교통비할인에 추가로 마일리지 적립형태로 이중할인 해주는 카드입니다. 이전에는 광역알뜰교통카드로 불렸고, 현재는 알뜰교통카드 또는 알뜰교통플러스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우선, 마일리지 적립을 위한 선작업만 간단히 말하자면, 카드 할인을 위해 카드 신청을 하고, 앱을 설치해야합니다. 그리고 앱에 발급받은 카드를 등록합니다. 선작업 이렇게 끝입니다.
이때 신용카드는 알뜰교통카드로 지정된 카드만 등록해야 합니다. 선작업이 끝났다면, 대중교통 이용할때 출발장소에서 앱을 켜서 출발하기 버튼을 클릭해주시고, 도착한 장소에서 도착하기 버튼을 클릭해주시면 됩니다.
앱에서 위치추적을 통해 출발, 도착간의 거리를 산정하여 매달 적립된 마일리지를 교통비에서 차감해주는 형태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산정된 금액은 문자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
2. 즐겨찾기
즐겨찾기는 알뜰교통앱을 매번 출발버튼, 도착버튼 누르기 번거로운경우 자주 다니는 곳을 등록해두면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정산해주는 기능입니다. 등록시 출발하려는곳의 주소와 버스정류장, 도착하려는 곳의 주소와 버스정류장, 총 4개를 입력하면 왕복 설정으로 인지합니다. 또, 등록하려는 주소지와 정류장 거리는 2000미터 내로 등록해야합니다.
3. 마일리지 적립 및 교통비할인
이제막 사용하기 시작해, 두달간의 카드할인 및 적립할인된 금액을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월 | 카드할인액 | 적립할인액 | 총 할인액 |
6월 | 8,440원 | 20,040원 | 28,480원 |
5월 | 7,835원 | 16,590원 | 24,425원 |
신한 알뜰교통카드로 30만원 실적시 10%할인받는 카드를 사용했고, 대중교통은 5월은 평일에만 이용하고, 6월은 평일만+주말 한번 이용했을때 금액입니다. 한달에 대중교통비가 평균 2만 5천원정도 할인되고 있습니다. 해당달 중순에 전달 사용한 카드할인액과 적립할인액이 계산된 금액을 문자로 알려줍니다. 매달 사용자가 따로 일일히 계산할 필요없이 교통비가 얼마나 할인되는지 알 수 있습니다. 30만원 실적에 평균 2만 5천원 정도면, 교통비만으로 실제 할인율이 8.3%입니다. 교통비 할인 이외에 다른혜택 또한 적절히 활용하면 더 많은 할인율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교통비 절약을 위한 방법으로 알뜰교통카드 사용해보는것도 좋을거 같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노령연금) 총정리 예상수령액 및 지급기간 신청방법 미납부액정리 (0) | 2023.07.11 |
---|---|
근로장려금 지급기준 지급일 지급액계산 방법 (0) | 2023.07.06 |
퇴직금 총정리 지급기준 및 지급기한 중간정산기준 미지급신고 정리 (0) | 2023.07.03 |
로또청약, 흑석자이 줍줍 무순위 청약대상 및 일정 (0) | 2023.06.22 |
안심전환대출 기준완화 (0) | 2022.11.11 |